본문 바로가기

돈버는법

커버드콜 etf 에 대해 예시로 알아보자

disclaimer

KODEX 200 타겟위클리커버드콜 ETF

  • 기초자산: 코스피200 지수
  • 옵션 전략: 위클리(1주 만기) 콜옵션 매도
  • 운용방식: 전체 자산 중 일정 비율만 콜옵션에 노출
    (예: 30~50% 정도만 옵션 전략에 사용, 나머지는 지수 그대로 추종)

실제 구조 예시로 시뮬레이션

  1. ETF가 보유한 기초자산: 코스피200 ETF
    예를 들어, 지수가 400포인트일 때 매수했다고 가정
  2. 옵션 매도:
    ETF는 1주일 후 만기인 405 콜옵션을 매도함 (행사가격 405)
  3. 옵션 프리미엄:
    예를 들어 405 콜옵션의 프리미엄이 1포인트(0.25%)였다면,
    ETF는 이걸 매도하고 현금 흐름 확보

3가지 시나리오 결과

  1. 지수 402로 마감 (상승)
    → 콜옵션 미행사, 프리미엄 수익 확보
    → 기초자산 상승분도 ETF 수익에 반영 → 완전 수익
  2. 지수 407로 마감 (행사가격 돌파)
    → 콜옵션 행사 → 수익은 405까지만 제한됨
    → 프리미엄은 확보되지만, 405~407의 2포인트는 수익으로 못 누림
  3. 지수 395로 하락 (하락장)
    → 콜옵션 미행사 → 프리미엄은 온전히 수익
    → 기초자산은 손실 상태 → 전체적으로 손실이지만 옵션 수익이 일부 보완

옵션 만기에 대한 요약

  • 기존 커버드콜은 대부분 월물(月물) 콜옵션을 썼다.
  • 최근 커버드콜 2.0 전략의 ETF들은 위클리(1주), 제로데이(1일) 옵션을 사용
  • 이렇게 하면 옵션 매도 횟수를 늘려 프리미엄을 더 자주 챙길 수 있고,
    기초자산 노출도 더 유연하게 조정 가능함

이 구조는 단기적으로도 옵션 매도 수익을 빠르게 회전시킬 수 있어,
기초자산의 방향성과 무관하게 꾸준한 분배금 성과를 만드는 데 유리한 구조다.
다만, 큰 상승장에서의 이익 제한과, 하락장 손실 방어 한계는 늘 감안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