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버는법

카이아 kaia 코인 3개월 체크포인트—업그레이드 호재 vs. 토큰 언락 리스크

disclaimer

최근 3개월 주요 이벤트

  1. 메인넷 v2.0.3 출시
    7월 20일 배포된 새 버전은 TPS 최적화와 개발자‑친화적 SDK 개선이 핵심이다. 하드포크 직후 네트워크 안정화가 빠르게 이뤄지며 기술적 신뢰도를 높였다.
  2. 거래소 연동 업그레이드
    7월 17일 하드포크에 맞춰 바이낸스를 비롯한 주요 거래소가 입출금을 일시 중단 후 재개했다. 대형 거래소의 실시간 지원은 유동성 리스크를 최소화했다.
  3. KRW 스테이블코인 해커톤 공동 개최
    8월 1일 시작되는 해커톤에는 Tether, KakaoPay, LINE NEXT가 파트너로 참여한다. KRW 연동 스테이블코인 프로토타입을 목표로 하며, 규제 완화 흐름 속 실사용 사례 확보에 방점을 찍고 있다.
  4. Kaia Wallet 리브랜딩
    기존 Kaikas를 전면 개편해 Kaia Wallet로 통합했다. 다중체인 경쟁이 치열한 지갑 시장에서 ‘LINE·카카오 계정 연동’이라는 차별점으로 사용자 온보딩 허들을 낮췄다.
  5. 가격·온체인 흐름
    최근 한 달 기준 약 3% 상승해 시총은 6억 달러대. 단기적으로 0.12달러 부근에서 등락을 반복 중이다.

거시·미시 동향 분석

  • 기술: v2.0.3 이후 평균 블록 간격이 12% 단축되고 가스비가 소폭 인하됐다. 그러나 dApp 이주 속도는 여전히 완만하다.
  • 거래소 커버리지: 주요 거래소 모두 업그레이드를 지원, 하드포크 위험 프리미엄이 빠르게 해소됐다.
  • 커뮤니티: X(트위터) 팔로워 수가 3개월간 27% 증가했다. AMA·오프라인 밋업 등 소통 채널 확장이 주효했다.
  • 토큰 공급: 9월 초 팀·재단 물량 1.8%가 언락 예정으로, 단기 매도 압력이 변수다.

향후 3개월 전망

변수 긍정시나리오 부정시나리오
해커톤 KRW 스테이블코인 프로토타입 성공, 국내 결제·게임사 파트너십 확장 실용성 부족·규제 리스크로 프로젝트 축소
dApp 유입 회지갑 리브랜딩 효과로 신규 dApp 5~7개 온보딩 개발자 유출, 경쟁 체인(Linea·Base)과 비교해 매력 감소
시장 심리 BTC 70k 돌파 시 알트 랠리 동반, 0.18~0.22달러까지 상승 거시 불안 지속, 0.09달러 재테스트
토큰 언락 수요 증가로 물량 흡수 매도 압력 가중, 단기 -15%
 

필자의 견해: 기술 호재가 공급 리스크를 상쇄한다면 0.14~0.20달러 박스권 상단 돌파도 가능하다. 9월 언락 전후 변동성이 커질 공산이 커서 스테이블코인 해커톤 성과를 확인한 뒤 중기 포지셔닝을 권한다.